목록칠레와인 (6)
꾸밈없는 솔직리뷰
09. 08. 09. 카베르네 소비뇽 칠레 유명한 와인社, 산타 캐롤리나의 와인이다. 스탠다드 와인. 텁텁한 냄새. 살짝 기분 나쁜, 무거운 이 냄새. 무슨 향인지 모르겠다. 빨리 아로마세트를 사던가 해야지 원. 알콜냄새가 마냥 가볍지만은 않았다. 우와 눈물은 정말 예쁘다. 휙 돌리면 0.5초 있다가 떨어지는 눈물, 눈물, 눈물. 아, 이래서 눈으로 와인을 먹는 사람들이 있구나 싶었다 드라이하다. 미세한 쇠맛. 끝에 아주 약간 감기는 맛이 있다. 아니, 들리는 맛이라는 게 보다 정확할 듯. 와인을 한웅큼 넘기자 알콜 향이 코로 어느 정도 들어온다. 타닌이 적은 편은 아니다. 중상인듯. 이래서 메를로를 섞나 싶다. 산도는 약하다. 끝에 살짝 신맛이 나는 정도. 한모금 마시고 잔을 내려놓자, 우와. 잔 바닥..
09. 07. 31. 샤도네이 칠레 윽 기분 나쁜 오크통 냄새 마른 나무 비린내가 팍 난다. 어 뭐지. 내가 알고 있는 발두지 레이트 하비스트 맞나. 후우 디켄팅하니까 나쁜 냄새가 조금 날아갔다. 그래도 여전히... 묵직한 벌꿀향. 화이트임에도 무겁다. 강한 알콜느낌. 코가 후끈 한다. ......지나치게 탁 쏘는데 이거? 좀 간 듯도 싶고.. 상한 와인 맛을 모르니... 맛있게 마셨던 2005와는 너무도 달랐다. 신대륙 와인은 빈티지에서 어느정도 자유롭다고 알고있는데... 마른 코르크마개를 보며 보관을 의심할 뿐이었다. 눕혀두어도 코르크가 마를 수 있으니 와인은 어느정도 습한 곳에서 보관하도록 하자.
08. 12. 24. 칠레 레드와인 처음먹는 블렌딩 와인. 카베르네 소비뇽 70%, 메를로 30% ...코르크를 오픈한 순간, 움찔했다. 코르크에 뭐가 덕지덕지 붙어있는 것이 아닌가.상한 건가? 못먹나? 역시 싼 게 비지떡? 온갖 생각이 머리 속을 어지럽히고 있을 무렵, 번뜩 떠오른 생각. 아, 이게 말로만 듣던 주석산염인가보구나. 과실 성분이 그냥 뭉친, 그런 건가보다, 하고 생각하고 마셨다. ......퉷퉷;;; 이게 뭔맛이지;; 아.. 그러고보니 이럴 땐 디켄팅을 해서 마시라 했다. 그래서 디켄팅 흉내를 좀 내고 마셔봤더니, ...많이 나아지긴 했으나 여전히 맛이 없었다. 시큼털털했다. 밍밍했다. 기분 나쁜 맛이다. 점도는 물과 같아 '와인의 눈물' 따위는 찾아볼 수 없었다. 축축히 젖은 나무 맛과..
08. 09. 08. 칠레 화이트 와인 14000원 새콤달콤하다. 풋풋하다. 풋과일 맛과 향이 난다. Gato Negro 혹은 San Pedro사 와인 특유의 드라이함이 느껴진다. 드라이함이 느껴지며 동시에 싸한 느낌이 든다. 그다지 무겁지 않은 와인. 아, 어쩌면 Late Harvest Chardonay를 마시고 입을 헹구지 않은 탓인지도?! 생선회와 정말 잘 어울릴 것 같다. 화이트 와인의 대표 품종 중 하나. 맛과 향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그 맛과 향이 독특한 편이라 샤도네이와 같은 대중적 지지는 조금 덜 받고 있다고.. 설탕처럼 찝찝한 단 맛이 아닌, 꿀처럼 무거운 단 맛이 아닌, 과일 같은 가볍고 상큼한 단 맛을 낸다. 바꿔말해서 단 맛보다는 상큼한 맛이 더 강하다. 드라이하다는 소..
08. 09. 08. 칠레 화이트 와인 1만원대 중반 맛있다♥ 달다, 상큼하다, 톡톡튄다, 싸하다. 깨끗한 건포도액 맛, 벌꿀맛, 달달한 과일 맛이 난다. 이건 먹으면서 케익 생각이 나더라는ㅎ 기회가 되면 절대 다시 거부하지 않을 와인이다. 화이트 와인의 대표 품종. 여왕으로 군림하는 녀석. 화이트 와인에 있어서 타 품종에 비해압도적인 비율을 자랑한다. '샤도네이'라고 읽기도 하고 '샤르도네'라고 읽기도 한다. 테루아에 따라 다양한 매력을 발산시킨다. 프랑스 샤블리의 샤도네이는 달달한 화이트 와인을 기대하고 마시는 사람들을 드라이한 맛으로 놀라게 한단다. 반면에 캘리포니아의 샤도네이는 높은 산도와 묵직한 맛을 자랑한다고 한다. 그리고 내가 마신 바에 의하면 칠레의 샤도네이는 무거운 단 맛을 뽐내는 듯!!..
칠레 레드와인 14000원 드라이하고 털털한 맛. 두툼한 서양식 스테이크와 잘 어울릴 듯 하다. Gato Negro가 회사명인 줄 알았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San Pedro라는 회사의 상표라고 한다. 위에서 두번째쯤 되는 라인이란다. 와인은 생산지에 따라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예전부터 와인을 생산해 온 구세계 와인과 그렇지 않은 신세계 와인. 구세계 국가들에는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가 있고 신세계 국가들에는 미국, 호주 등 비유럽 국가가 있다. 당연히 칠레는 신세계 와인~ 나 같은 초보자들에게는 신세계 와인이 더 잘 어울린다. 우선, 구세계 와인들은 라벨에 포도 품종을 표기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미리 공부 좀 하고 와서 마시라는 자세.. 하지만 신세계 와인들에는 대부분 라벨에..